아연도금 표준 규격 완전 정리: KSD 8308 · ASTM A123 비교
반응형
아연도금은 단순한 방청처리가 아니라, 산업 규격에 따라 도금 두께와 품질이 엄격하게 관리되는 기술입니다.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국내외 규격인 KSD 8308과 ASTM A123을 비교 정리합니다.
1. 왜 도금 규격이 중요한가?
도금층의 두께와 균일성은 내식성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건축, 플랜트, 조달 계약에서는 반드시 규격서 기반의 도금 품질 보증이 필요합니다.
2. KSD 8308 (대한민국 국가표준)
- 도금 종류: 용융아연도금 (HDG)
- 적용 범위: 철강재, 구조물, 볼트, 부속품
- 측정 방식: 자외선 측정기 / 현미경 단면 관찰
- 표준 두께:
재질 두께 | 아연층 평균 두께 | 비고 |
---|---|---|
≥ 6mm | 85μm 이상 | 기계부품, 구조물 |
3mm ~ 6mm | 70μm 이상 | 파이프, 난간 등 |
1.5mm ~ 3mm | 55μm 이상 | 경량 부품 |
3. ASTM A123 (미국 재료시험협회 표준)
- Full name: ASTM A123/A123M-17
- 적용 대상: 철강 구조물 및 공업제품
- 도금 방법: 용융아연도금 (HDG)
- 두께 기준:
철강재 유형 | 최소 아연 두께 (μm) | 비고 |
---|---|---|
플레이트, 스트럭처 | 100μm | 6mm 이상 |
튜브, 파이프류 | 85μm | 내·외면 전체 |
철망, 경량 부품 | 45μm | 1.5~3mm |
📌 결론
KSD와 ASTM 규격은 도금 품질 기준으로 설계자, 발주자, 제조사 모두가 참고해야 할 기준입니다. 도금 두께, 도금 후 외관, 시험 방법까지 명확히 제시되어 있어 공공 입찰, 기술 제안서, 설계 명세서에 반드시 인용됩니다.
📄 본 글은 MDSN 기술노트의 산업 규격 콘텐츠입니다. 작성 기준: 2025년 ASTM 및 KATS 최신 표준 참조.
반응형
'기계·기술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용융아연도금 기술 시리즈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5.12 |
---|---|
용융아연도금 활용 사례 총정리: 건축부터 산업설비까지 (0) | 2025.05.12 |
용융아연도금의 내식성과 수명 분석: 얼마나 오래 버티는가? (0) | 2025.05.12 |
전기도금 vs 용융아연도금: 차이점, 장단점, 적용 분야 완벽 비교 (0) | 2025.05.12 |
용융아연도금 공정 단계별 정리: 탈지부터 냉각까지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5.12 |
댓글